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3

아이테르: 빛의 신부터 천상, 순수까지 - 어둠에서 태어난 상층 대기의 빛나는 공기 그리스 로마 고대 신 시리즈 #3맑은 날 하늘을 올려다본 적 있나요? 깊고 푸른 하늘, 그 투명하고 청명한 공기를 느껴본 적은요?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그 하늘 높은 곳의 공기는 우리가 숨 쉬는 평범한 공기와 달랐어요. 그것은 신성하고 순수한 아이테르(Aether)였거든요.아이테르는 정말 흥미로운 존재예요. 에레보스(어둠)와 닉스(밤)라는 가장 어두운 원시 신들에게서 태어났는데, 정작 본인은 빛이거든요. 어둠의 부모에게서 빛의 자식이 나온 거예요. 이것만큼 그리스 철학의 깊이를 보여주는 역설도 없어요.아이테르는 단순한 빛이 아니에요. 헬리오스(태양신)의 물리적인 햇빛과도 달라요. 아이테르는 순수 그 자체예요. 상층 대기를 채우는 빛나는 물질이자, 신들이 숨 쉬는 공기이자, 우주를 채우는 영적인 매질이에요... 2025. 10. 7.
에레보스: 어둠의 신부터 심연, 공간까지 - 닉스의 형제이자 짝, 모든 어둠의 근원이 되다 그리스 로마 고대 신 시리즈 #2어둠을 경험해본 적 있나요? 진짜 어둠 말이에요. 도시의 밤은 사실 어둡지 않아요. 가로등, 네온사인, 자동차 불빛... 어디에나 빛이 있죠. 하지만 깊은 동굴 속, 지하실 깊은 곳, 혹은 깊은 밤 산속에서 모든 빛이 사라진 순간을 경험해보면 알 수 있어요. 진짜 어둠이 얼마나 절대적인지를요.그리스 신화에서 이런 절대적 어둠은 단순한 빛의 부재가 아니었어요. 어둠 그 자체가 살아있는 존재, 바로 에레보스(Erebos)라는 원시 신이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닉스(밤의 여신)만 알고 에레보스는 잘 모르는데, 사실 이 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쌍둥이 같은 존재예요.닉스가 시간적 개념의 밤이라면, 에레보스는 공간적 개념의 어둠이에요. 닉스는 "해가 진 후부터 뜨기 전까지"를 의미.. 2025. 10. 7.
닉스: 밤의 여신부터 어둠까지, 두려움까지 - 제우스도 감히 거역하지 못한 원초의 밤 그리스 로마 고대 신 시리즈 #1밤하늘을 올려다본 적이 있나요? 칠흑같이 어두운 밤, 별빛조차 희미하게 느껴지는 그 깊은 어둠 속에서 묘한 두려움을 느껴본 적은요? 그리스 신화에서 밤은 단순한 시간대가 아니었어요. 밤 그 자체가 살아있는 존재, 바로 닉스(Nyx)라는 강력한 여신이었거든요.닉스는 우리가 흔히 아는 올림포스 12신과는 차원이 다른 존재예요.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 이런 강력한 신들보다 훨씬 먼저 태어났고, 심지어 신들의 왕 제우스조차 닉스만큼은 함부로 대하지 못했어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제우스가 닉스를 두려워해서 그녀의 아들 히프노스(잠의 신)를 처벌하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예요.닉스의 이야기는 단순히 밤의 여신 이야기가 아니에요. 우주의 탄생, 생명과 죽음, 그리.. 2025. 10. 6.
물고기자리: 아프로디테부터 변신, 사랑까지 - 공포 속에서도 끊어지지 않은 모성애의 기적 10월 별자리 & 그리스 로마 신화 시리즈 #7양자리의 용감한 모험 이야기 다음으로 소개할 별자리는 물고기자리(Pisces)예요. 황도 12궁의 마지막 별자리인 물고기자리는 2월 19일부터 3월 20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의 별자리로 알려져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신화는 정말 감동적이에요.물고기자리의 주인공은 다름 아닌 아프로디테(Aphrodite), 사랑과 아름다움의 여신이에요. 늘 당당하고 화려한 모습으로 등장하던 아프로디테가 공포에 떨며 도망치는 모습... 상상이 되나요? 하지만 바로 그 순간이 물고기자리가 탄생한 순간이었어요. 그리고 그녀 곁에는 아들 에로스(Eros, 로마 신화의 큐피드)가 함께 있었죠.10월 밤하늘에서 물고기자리를 찾는 건 쉽지 않아요. 밝은 별이 거의 없고, 희미한 별들이 V.. 2025. 10. 6.
양자리: 황금양털부터 아르고호, 모험까지 - 두 아이를 구하고 영웅들의 꿈이 된 신성한 양의 전설 10월 별자리 & 그리스 로마 신화 시리즈 #6황도 12궁의 첫 번째 별자리, 양자리(Aries)를 아시나요? 점성술에서는 3월 21일부터 4월 19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의 별자리로 알려져 있지만, 그 뒤에 숨겨진 신화는 정말 장대한 모험담이에요. 황금양털을 찾아 떠나는 이아손과 아르고나우타이들의 이야기... 어렸을 때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예요.하지만 양자리의 진짜 이야기는 황금양털을 찾는 모험보다 훨씬 전에 시작돼요. 위기에 처한 두 남매를 구하기 위해 나타난 신성한 황금양 크리소말로스, 그 양이 어떻게 희생되어 황금양털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양털이 왜 그토록 많은 영웅들의 꿈이 되었는지... 정말 깊이 있는 이야기거든요.10월 밤하늘에서 양자리는 그리 눈에 띄는 별자리는 아니에요. 페가수스나 안.. 2025. 10. 5.
고래자리: 바다괴물부터 케토스, 심판까지 - 명령을 따를 수밖에 없었던 괴물의 슬픈 운명 10월 별자리 & 그리스 로마 신화 시리즈 #5안드로메다 이야기에서 등장했던 바다괴물 케토스, 기억하시나요? 안드로메다를 잡아먹으려다가 페르세우스의 메두사 목에 석화되어 버린 그 무시무시한 괴물 말이에요. 하지만 케토스의 진짜 이야기를 들어보면 단순한 "악당 괴물" 이상의 복잡한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어요.10월 밤하늘에서 안드로메다자리 아래쪽으로 시선을 내리면 거대한 고래자리(Cetus)가 펼쳐져 있어요. 황도 12궁에는 속하지 않지만, 하늘에서 네 번째로 큰 별자리예요. 이 거대한 별자리 속에는 단순히 퇴치당한 괴물이 아니라, 명령을 따를 수밖에 없었던 존재의 비극이 담겨있거든요.케토스는 정말 악한 괴물이었을까요? 아니면 포세이돈의 명령을 따를 수밖에 없었던 피해자였을까요? 해안 마을을 파괴하고 사.. 2025. 10. 5.